본문 바로가기
전기/개념 이해하기

Rotary Encoder를 사용해보자! (로터리 엔코더, 기본적인 기능)

by 자유로운 생활 2022. 12. 24.
728x90
반응형

개인적인 공부를 위해 사용중인 Training Kit에

로터리 엔코더(Rotary Encoder)가 하나 부착되어 있어요.

 

사용해보려고 하는데, 어떻게 쓰는건가 싶어서

기본 동작을 한번 확인해보고자 합니다.

 

Training Kit에 있는 로터리 엔코더

 요렇게 생긴 녀석이 하나 있습니다.

크기는 대충 엄지 손톱 비슷한 크기!

 

가변저항처럼 돌릴 수 있게끔 되어있는 노브와

5개의 핀으로 구성되어 있네요.

(상단 3개의 핀, 하단 2개의 핀)

 

데이터시트를 찾아보면 쉽게 핀의 기능을 알 수 있겠지만,

이미 기판에 납땜되어 있는 상태기 때문에 

제품명이 안보이는 상황이에요.

 

대충 로터리 엔코더 구글링을 해봅니다.

 

대충 비스무리하게 생긴 PEC11R 이란 제품의 데이터시트가 보이네요.

이 데이터 시트에 이런 그림이 나와있네요.

연결부는 A, C, B 핀과 1, 2 핀으로 구성되어 있고, 

출력으로 어떤 파형이 나오는 것 같습니다.

 

생김새도 비슷하니, 핀 기능은 동일하다고 생각하고 

제가 가지고 있는 로터리 스위치의 출력을

직접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고 생각해볼게요.

(1, 2 대신 D, E로 적었습니다.)

A와 B를 각각 측정해보기로 합니다.

 

우측으로 한 칸 돌렸을 때

오른쪽으로 한 칸 돌려봤는데(CW), 위와같이 출력되었습니다.

노란색 파형이 A, 파란색 파형이 B를 측정한 결과예요!!

 

A가 B보다 앞서있네요.

(사용한 Rotary Encoder는 기본 상태가 High 이고, 

노브를 한 칸 돌렸을 때, Low 상태가 됩니다.)

 

 

그렇다면 반대로도 돌려볼까요? 어떻게 될까요?

왼쪽으로 한 칸 톨렸을 때

왼쪽으로 한 칸 돌렸더니(CCW), 이번에는 B가 A보다 앞서 출력되네요!

 

아하, 어느쪽 방향으로 돌리는지에 따라

A와 B의 출력 파형의 순서가 바뀌는구나! 

라는 것을 알 수가 있네요!

 

그렇다면 A와 B의 출력 신호를 읽어서,

어느 방향으로 돌고 있는지 쉽게 알 수 있을 것 같네요.

물론 아직 해보진 않았지만

방향 외에도 회전 시간, 각도 등 여러가지를 확인 할 수 있겠죠?

 

참고로 제가 사용한 로터리 엔코더는

손으로 천천히 돌려보니 360도 회전하는데

24번 툭툭 끊기네요!

즉, 한 칸 돌릴때마다 15도씩 돌아가는 것 같네요.

 

아까 구글링해서 확인해 본 어느 데이터시트의 

Output Table 그림을 보면, 

CW 방향일 때, 위의 파형이 아래 파형보다 앞서서 출력되는 그림이 있었죠?

비슷한 결과입니다.

 

이런 식으로 쓰는 것이구만!

근데 D, E 핀(또는 1, 2핀)은 뭘까요?

 

이 로터리 엔코더는 노브를 누를 수도 있어요!

눌러보면 딸깍 딸각 하면서 Push 스위치 누르는 느낌이 납니다.

 

뭔가 추가적으로 Push Switch 기능도 있구나 추측 가능하지만,

직접 확인을 해보겠습니다.

 

위의 파형은 D-E를 측정한 파형(노란색 파형)으로, 

기본 High 상태 출력에서 노브를 눌렀을 때,

Low 상태로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네요!

(파란색 파형은 아무것도 측정하지 않은 상태입니다...무시하세요~)

 

이 파형은 노브를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손을 뗐을 때 출력되는 파형입니다!

Low → High로 바뀌네요.

 

즉, 추측한대로 Push Switch 기능을 하고 있네요!

 

로터리 엔코더는 이와같은 기능을 하고 있었군요.

출력을 이용해서 얼마나 어떻게 활용하느냐는

사용자에게 달려있겠네요.

 

이상으로 로터리 엔코더(Rotary Encoder)의

기본적인 기능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끝!!!

 

< 파형 및 그림은 직접 제작 및 캡처한 것으로

무단으로 사용하는 것을 금합니다!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