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이번 포스팅에서는,
표준 2차 시스템의 평가척도에 대해 알아본다.
시간영역에서 제어시스템의 성능평가를 위해서
부족제동 단위스텝응답곡선으로부터 속응성과 상대안정도를 평가한다.
표준 2차 형태는 위와 같다.
전달함수가 표준 형태꼴로 나타내어 질 때,
시간역에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척도는 아래와 같다.
스텝응답 : 시간역 성능을 조사하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
1. 속응성 평가 척도
① 최대첨두시간(time to reach first peak)
- t=0 부터 첫번째 오버슈트(최대오버슈트)까지 도달하는 시간
② 상승시간(rise time)
- 부족제동의 경우, t=0 부터 목표치에 도달하는 시간
- 과제동의 경우, 목표치의 10% ~ 90% 까지 상승시간
③ 정착시간(settling time)
- 2% 정착시간 : 응답이 목표치의 2% 허용오차 내로 도달하는 시간
- 5% 정착시간 : 응답이 목표치의 5% 허용오차 내에 도달하는 시간
- 1%, 2%, 5% 정착시간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2% 정착시간 사용
④ 지연시간(delay time)
- 응답이 목표치의 50%에 도달하는 시간
2. 상대안정 척도
① 최대오버슈트(Max. overshoot)
- 응답이 목표치를 넘어선 후 처음 나타나는 초과량
② 최대진폭 (peak amplitude)
- 최종희망값 + 첫번째 초과량
③ % overshoot
- 최대초과량을 %로 나타낸 것
④ 감쇠비
2차 표준형을 기준으로,
속응성 및 상대안정 척도에 대한
수식들은 제어관련 서적에 나와 있으니 참고하자.
처음엔 이런 수식들이 왜 필요하고 굳이 이런 것들까지 계산을 해야하나 싶었는데,
시뮬레이션 등을 이용해서 시각적으로 출력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면,
말 그대로 해당 내용들을 기반으로 성능을 평가 할 수 있기 때문에...
제어하고자 하는 대상에 따라,
어떤 성능을 내도록 설계할 것인지 정하는 것도 정말 중요한 부분이다.
728x90
반응형
'전기 > 제어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어공학] 상태공간모델 (state space model) #1 개념 (0) | 2023.04.28 |
---|---|
[제어공학] 주파수응답 (0) | 2023.04.13 |
[제어공학] 근궤적법(Root Locus Method) _ #2 예제로 이해하기 (0) | 2023.04.12 |
[제어공학] 근궤적법(Root Locus Method) _ #1 왜 배울까? (0) | 2023.04.11 |
[제어공학] 관련 용어들 정리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0) | 2023.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