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기47 [제어공학] 주파수응답 이번 포스팅에서는 주파수응답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려 합니다. 어떤 시스템에 사인파입력을 인가했을 때, 사인파입력의 주파수 ω(0 ~ 무한대) 값에 따른 '입력 진폭에 대한 정상상태 출력 진폭의 비' 와 '입력과 출력 사이의 위상차' 를 시스템의 주파수응답이라 합니다. * 주파수응답 특성을 알 수 있는 대표적인 방법 ① Bode 선도 - 주파수 ω에 따른 주파수 전달함수의 크기와 위상을 직교좌표 상에 나타낸 선도 ② Nyquist 선도 - 주파수 ω에 따른 주파수 전달함수의 크기와 위상을 극좌표 상에 표시한 선도 ③ Nichols 선도 - 수평축에 주파수 ω에 따른 주파수 전달함수의 위상을, 그리고 수직축에 크기를 나타낸 선도 * Nyquist 안정도 판별법과 같은 주파수응답 해석방법을 이용하여 폐루프 시.. 2023. 4. 13. [제어공학] 근궤적법(Root Locus Method) _ #2 예제로 이해하기 이번 포스팅에서는 근궤적법 관련하여 예제를 통해 이해해 보는 시간을 갖으려 합니다. 앞서 근궤적법을 왜 배우는지, 어떤 장점을 갖고 있는지, 언제 쓰는지 등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아직 못보신 분들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 ↓↓↓↓↓↓↓↓↓↓↓↓↓↓↓↓↓↓↓↓↓↓↓↓↓↓↓↓↓↓↓↓↓↓↓↓↓↓↓↓↓ https://jauroun.tistory.com/76 [제어공학] 근궤적법(Root Locus Method) _ #1 왜 배울까? 이번 포스팅에서는 제어공학에서 중요한 부분 중 하나인 Root Locus Method (근궤적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근궤적법(root locus method)은 왜 필요할까? 일반적으로 s-평면 상에 표현된 극점의 위치 jauroun.tistory.com 이제는 예.. 2023. 4. 12. [제어공학] 근궤적법(Root Locus Method) _ #1 왜 배울까? 이번 포스팅에서는 제어공학에서 중요한 부분 중 하나인 Root Locus Method (근궤적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근궤적법(root locus method)은 왜 필요할까? 일반적으로 s-평면 상에 표현된 극점의 위치로부터 제어시스템의 안정도와 성능을 비교적 쉽게 해석이 가능함 제어기의 게인들을 적절히 선정하여 폐루프 제어시스템의 극점들이 바람직한 위치에 놓이도록 조정하여 만족스러운 제어시스템을 설계 할 수 있음. 이러한 목적을 위한 대표적 방법 중 하나가 근궤적법(root locus method)이다. 폐루프 제어시스템의 해석 및 설계에 있어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음 즉, 일반적으로 어떤 제어시스템에 대해 절대안정도를 분석할 때, 특성방정식의 근을 구해서 안정도를 판별할 수 있습니다. s-p.. 2023. 4. 11. [제어공학] 속응성 및 상대안정도 척도 이번 포스팅에서는, 표준 2차 시스템의 평가척도에 대해 알아본다. 시간영역에서 제어시스템의 성능평가를 위해서 부족제동 단위스텝응답곡선으로부터 속응성과 상대안정도를 평가한다. 표준 2차 형태는 위와 같다. 전달함수가 표준 형태꼴로 나타내어 질 때, 시간역에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척도는 아래와 같다. 스텝응답 : 시간역 성능을 조사하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 1. 속응성 평가 척도 ① 최대첨두시간(time to reach first peak) - t=0 부터 첫번째 오버슈트(최대오버슈트)까지 도달하는 시간 ② 상승시간(rise time) - 부족제동의 경우, t=0 부터 목표치에 도달하는 시간 - 과제동의 경우, 목표치의 10% ~ 90% 까지 상승시간 ③ 정착시간(settling time) - 2% 정착.. 2023. 4. 10. [제어공학] 관련 용어들 정리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1. 선형제어시스템 / 비선형제어시스템 - 선형제어시스템 : 시스템을 표현하는 방정식이 선형인 제어시스템 - 비선형제어시스템 : 시스템 방정식에 비선형 방정식이 포함되어 있는 제어시스템 * 선형(linear) 시스템 : 중첩의 원리와 동차성이 만족되는 시스템 - 중첩의 원리 : 두 개 이상의 입력이 동시에 입력될 때, 출력은 각각의 출력의 합이 만족되는 성질 - 동차성 : 입력이 k배가 되면 그 출력도 k배가 되는 성질 2. 시불변(time-invariant) 시스템, 시변(time-varying) 시스템 - 시불변 : RLC 회로와 같이 고정된 파라미터 값들로 구성 - 시변 : 시스템의 변수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경우 3. 연속시간(continuous time) 시스템 / 이산시간(discrete t.. 2023. 4. 4. 이전 1 2 3 4 5 ··· 10 다음 728x90 반응형